본문 바로가기

모바일 개발

모바일 앱(어플) 개발 : iOS & 안드로이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을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모바일 OS마다 앱을 만들고 싶지만, 모든 OS에 맞춰 앱을 개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그래서 보통은 모바일 OS 점유율 99% 이상을 차지하는 안드로이드(Android)와 iOS의 앱을 개발합니다.

 

그렇다면 안드로이드 앱과 iOS 앱 중 무엇부터 개발해야 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먼저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디노피아는 iOS 앱부터 개발하는 중입니다...😭)

 

개발 환경

 

안드로이드 앱은 자바(Java) 혹은 코틀린(Kotlin)[각주:1]으로 개발 가능합니다.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나 이클립스(Eclipse)를 사용할 수 있는데, 둘 다 윈도우(Windows), 맥(Mac), 리눅스(Linux) 환경을 지원합니다.

 

iOS 앱은 오브젝티브 C(Objective-C)와 스위프트(Swift)[각주:2]로 개발 가능합니다. IDE는 Xcod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공식적으로, 애플은 맥 이외의 환경에서 Xcode를 지원하지 않습니다(리눅스에서 굳이 사용하고자 한다면 할 수는 있습니다). 오브젝티브 C와 스위프트 자체는 리눅스에서 컴파일이 가능하지만, iOS에서 사용 가능한 앱을 개발하려면 IDE가 있어야 합니다. 즉, iOS 앱을 개발하려면 맥OS(macOS)를 사용하는 애플 제품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애플 컴퓨터는 비쌉니다. 기존 사용자가 아니라면, 개발을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해야 합니다.

 

테스트 환경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에뮬레이터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안드로이드 실행 환경에서 앱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에뮬레이터를 사용할 수 없더라도, 블루스택, 녹스 앱플레이어 등의 다른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앱을 설치하고 실행해 볼 수 있습니다.

 

iOS 앱을 개발할 수 있는 Xcode는 시뮬레이터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iOS 실행 환경에서 앱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블루스택, 녹스 앱플레이어와 같이 다른 iOS 에뮬레이터는 없습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와 달리 기기 종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테스트 환경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Xcode의 시뮬레이터로도 충분합니다.

 

스토어 등록 비용

안드로이드의 공식 스토어인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iOS의 공식 스토어인 애플 앱 스토어에 앱을 올리려면 개발자 등록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개발자 등록 시에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구글 플레이에 앱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구글 플레이 콘솔(Play Console)에 개발자 등록을 해야 합니다. 플레이 콘솔 고객센터에서는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2020년 7월 20일 기준)

등록 수수료(미화 25달러)는 한 번만 청구되며 아래 목록에 있는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 Mastercard
- Visa
- American Express Discover(미국만 해당)
- Visa Electron(미국 이외의 지역만 해당)
참고: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의 유형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구글의 개발자 등록 수수료는 미화로 25$, 원화로 30,075원(2020년 7월 20일 기준)이며, 1회 결제 시 계속 앱을 올릴 수 있습니다.

 

애플 앱 스토어에 앱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애플 개발자 프로그램(Apple Developer Program)에 개발자 등록을 해야 합니다. 애플 개발자 프로그램에서는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2020년 7월 20일 기준)

Apple Developer Program의 연간 사용료는 미화 99달러이며 Apple Developer Enterprise Program의 연간 사용료는 미화 299달러입니다. 원화로 지불 가능합니다. 가격은 지역별로 다를 수 있으며 등록 과정에서 현지 통화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즉, 애플의 개발자 등록 비용은 미화로 99$, 원화로 119,097원(2020년 7월 20일 기준)이며, 연간 사용료이므로 1회 결제 시 1년 간만 앱을 올릴 수 있습니다. (엔터프라이즈는 "특정 활용 사례로 안전한 내부 시스템 또는 MDM(모바일 기기 관리) 솔루션을 통해 직원들에게 직접 비공개 배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다만, 애플 개발자 프로그램에서는 아래와 같은 경우에 회비를 면제해 줍니다.

비영리 조직, 교육 기관 또는 정부 기관은 회비 면제 대상일 수 있습니다.

 

결제 수수료

구글 플레이의 결제 수수료는 구글 결제 센터 도움말에서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2020년 7월 20일 기준)

Google Play의 모든 구매(앱 및 인앱 구매)에 대한 거래 수수료는 고객이 결제하는 가격의 30%입니다. 즉, 개발자는 결제 금액 중 70%를 수령하고 나머지 30%는 게재 파트너에게 전달되거나 운영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즉, 구글 플레이의 앱 구매 및 인앱 결제 수수료는 30%입니다. 국내 결제의 경우, 가격을 100원으로 설정하면 앱 사용자는 100원을 결제하고 개발자는 수수료 30%와 부가가치세 약 9%를 제외한 61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애플 앱 스토어결제 수수료는 구글과 동일한 30%입니다. 그러나 앱 스토어의 가격 정책은 1원 단위로 설정 가능한 구글 플레이와 다르게 티어별로만 가격 설정이 가능한 티어제입니다. 1티어는 1,200원, 2티어는 2,500원, 3티어는 3,900원, 4티어는 4,900원, 5티어는 5,900원, 6티어는 7,500원, 7티어는 8,900원, 8티어는 9,900원, 9티어는 11,000원, 10티어는 12,000원입니다. 가격을 1티어로 설정하면, 앱 사용자는 1,200원을 결제하고 개발자는 수수료 30%와 부가가치세 약 9%를 제외한 732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구글 플레이와 애플 앱 스토어의 수수료는 동일하지만 가격 정책은 다릅니다. 앱 가격을 개발자가 임의대로 정해버리면, 같은 서비스를 구매하여도 안드로이드 사용자와 iOS 사용자의 결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약 안드로이드 앱과 iOS 앱 둘 다 공식 스토어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앱 스토어의 티어 가격에 맞춰 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부가가치세도 잊지 마세요😁)

 


주석

 

  1. 자바와 코틀린은 프로그래밍 언어. [본문으로]
  2. 오브젝티브 C와 스위프트는 프로그래밍 언어. [본문으로]